둘다 말레이어를 사용하는데 차이가 있을까 궁금했다. 명칭이 따로 구분되나 찾아봤는데 따로구분되긴 했다. 미국영어란 말도 있으니 없을 이유는 없다.
일단 말레이어를 쓰는 나라들은 이렇다.
싱가포르 브루나이 말레이시아 인도네시아
이 나라들에서 쓰는 말레이어들을 통으로 부를 때는 Malay language 말레이어로는 Bahasa Melayu 라고 한다.
그런데 이 말레이어라는 표현을 각자 자국말레이어를 쓰는 명칭으로도 쓰는데, 인도네시아에서는 안 쓴다.
아마 이웃한 말레이시아 국명이 너무 드러나는데 인도네시아 쪽이 더 큰 나라라서 일종의 자존심 문제로 보인다.
인도네시아의 경우 애초 모어사용자는 자바어 사용자가 압도적이었다.
국가통합을 위한 행정적 편의적 이유로 말레이어를 공용어로 정했다.
따라서 그런 국가통합적 의미를 담은 자국명이 들어간 이름으로 부르고 싶었을 것이다.
하여간 이 말레이어를 국명을 붙여 구분하면 말레이시아어(Malaysian language, Bahasa Malaysia) 인도네시아어(Indonesian language, Bahasa Indonesia )가 되는데 각각의 국가 언어로 따로 구분할 수 있다.
둘에게 차이가 있을까?
찾아보니까 별 차이는 없다고 한다.
차용어에서 약간 다른 정도의 차이가 있었다.
말레이시아는 영국 지배, 인도네시아는 네덜란드 지배를 받았었기 때문에 전자는 영어차용어 후자는 네덜란드어 차용어가 많았다.
그 외의 차이가 조금 더 있을 수 있지만 이 정도면 그냥 무시해도 될만한 차이라고 본다.
계속 인도네시아 쪽을 보면 이렇다.
인도네시아에서 말레이어의 미래는 밝다.
말레이어, 즉 인도네시아어는 지금은 자바어에 밀려 압도적 지위를 차지하지는 못하고 있지만 사용자가 계속 늘어나고 있다.
앞으로 자국내 효율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인도네시아어의 비중이 계속 커질 것이다.
다른 얘기지만, 인도네시아의 지배적 지역어인 자바어도 흥미로운 면이 있다.
자바어가 경어체계가 복잡하며 이것이 자바어를 배우려는 사람들에게 장벽이 되고, 자바어 모어 사용자들도 어려워한다고 한다.
이런 경어체계는 한국어나 일본어와 비슷하다.
대충 본 바로는 한국어 일본어보다 더 복잡해 보인다.
이것은 교착어가 가지기 쉬운 특징일까?
모든 교착어가 경어 체계를 발달시키지는 않지만 경어체계를 발달시키기 좋은 구조를 가지고 있다고 본다.
자바어 경어체계는 어휘를 달리 쓰는 방법도 쓰지만 접미사를 통해서 뜻을 나타내는 경우가 많다고 하는데 이것도 한국어와 비슷하다.